"엄마, 귀가 이상해요", "윙 소리가 나요", "제 목소리가 귀에서 울려요." 아이가 이런 말을 한다면,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
아이들의 귀는 성인과 달리 매우 민감하고, 스스로 증상을 정확히 표현하기 어려워 초기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관기능 장애는 아이들에게 흔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질환으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관(유스타키오관)은 코와 귀를 연결하는 작은 통로로, 중이의 압력을 조절하고 분비물을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의 이관은 비스듬하고 길지만, 아이들의 이관은 상대적으로 짧고 넓으며 수평에 가깝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성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코에서 귀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이관 주변의 림프 조직(아데노이드 등)이 발달하면서 이관을 압박하여 기능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감기 및 비염: 콧물, 코막힘 등으로 인해 이관 입구가 붓거나 막혀 이관 기능이 저하된다. 아이들은 감기에 자주 걸리므로 이관기능 장애가 반복될 수 있다.
아데노이드 비대증: 코 뒤쪽에 위치한 림프 조직인 아데노이드가 커져 이관을 압박하고 염증을 유발한다.
알레르기: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와 이관 주변이 붓고 염증이 생겨 이관 기능에 영향을 준다.
역류성 식도염: 위산이 역류하여 목과 코를 자극하고, 이로 인해 이관 주변에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아이는 귀의 불편함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할 때가 많다.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이유다.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인다면 이관기능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귀가 먹먹하다고 자주 말한다.
-자기 목소리가 귀에서 울린다고 한다.
-다른 사람이 작게 들린다고 하거나, TV 볼륨을 높인다.
-귀를 자주 만지거나 잡아당긴다.
-평소보다 짜증을 내거나 산만해진다. (불편함으로 인해)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곳에 올라갈 때 유독 귀 통증을 호소한다.
-코를 킁킁거리거나 훌쩍이는 습관이 생겼다.
아이에게 이관기능 장애 증상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소리청한의원을 찾아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몸의 균형을 되찾아 근본적인 원인을 다스리는 한방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약과 특수 약침을 사용하여 체질 개선 및 자율 신경을 조절하고 구조적인 문제시에는 신경추나 요법이 증상 완화에 도움된다. 우리 아이의 작은 신호에도 귀 기울여 건강한 귀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자.
각 지역에 있는 소리청 한의원 지점을 확인해보세요.